본문바로가기

기업홍보

뉴스

GC지놈, 여성의 질 내 건강상태 확인 가능한 ‘그린바이옴 Lady’ 출시

GC지놈, 여성의 질 내 건강상태 확인 가능한 ‘그린바이옴 Lady’ 출시

임상유전체분석 전문기업 GC지놈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통해 여성의 질 내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인 ‘그린바이옴 Lady(그린바이옴 레이디)’를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GC지놈이 새롭게 선보인 그린바이옴 Lady는 여성의 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전체 균 총의 유전자를 NGS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우세 질 내 미생물에 따른 질 건강을 알아보는 검사이다. 질 내 미생물 환경이 불안정하면 질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질염은 여성의 70%가 경험할 정도의 흔한 질환으로 가임기부터 폐경기 이후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만큼 치료를 소홀히 하기 쉬운데, 질염을 방치할 경우 골반염에 이를 수 있고 가임기 여성은 난임이나 불임까지 경험할 수 있어 빠르게 치료해야 한다. 자신의 질 건강 상태를 사전에 파악해 꾸준한 질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 이 검사는 질 내 미생물을 젖산 생성 능력, 천연 항생물질 능력 등 항균 능력 및 우세 균 종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수검자는 자신의 질 내 미생물 유형은 물론 세균성 질염, 성병, 요로 감염 등 질환 발병위험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송주선 GC지놈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여성들은 면역력이 조금이라도 낮아지면 여성의 감기라고도 불리는 질염이 흔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사전에 자신의 질 내 미생물 환경을 파악하고 질환 위험성과 관리 방법 등을 체크해 둔다면 건강한 질 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질 분비물과 냄새로 불편함을 겪었던 여성이라면, 한 번의 검사로 질 내 건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그린바이옴 Lady’ 검사를 통해 자신의 질 내 미생물 유형을 체크해보고 효과적으로 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GC지놈은 그동안 면역기능 조절과 각종 대사물질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해오고 있다.  ▶뉴스 원문 바로가기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포인트데일리(https://www.thekpm.com/)  

GC지놈, 유럽종양학회서 암 조기 진단 연구 결과 발표

GC지놈, 유럽종양학회서 암 조기 진단 연구 결과 발표

"딥러닝 기반 AI 활용 주요 암 7종 92.8% 정확도로 확인 가능" GC지놈(대표 기창석)은 지난 9일부터 13일(현지시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2)에 참가해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암 조기 진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로 48회를 맞이한 유럽종양학회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히는 유럽 최대 규모 암 학술대회다. 코로나 이후 3년 만에 첫 대면 행사로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GC지놈은 ‘Deep Learning-based Multimodal Ensemble Algorithms for Multi-cance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cf-WGS’를 주제로 자사가 개발 중인 딥러닝 기반 AI를 활용한 암 조기 진단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검사는 주요 암종인 △유방암 △대장암 △식도암 △간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을 대상으로 하며, AI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해 92.8% 높은 정확도를 얻어냈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 내용은 낮은 커버리지의 전장 유전체분석(low coverage WGS)을 통해 액체생검 데이터를 확보하고, FEMS(Fragment-End Motif and Size information)와 RMD(Regional Mutation Density) AI 검출 알고리즘을 함께 활용하여 다종암을 조기 진단하는 것이다. 조은해 GC지놈 연구소장은 “AI 검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해 높은 정확도를 자랑하는 자사의 기술을 활용해 여러 종류의 암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함으로써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 원문 바로가기 출처 : 약업신문(https://www.yakup.com/)

GC지놈, AI 기반 비침습산전검사 분석알고리즘 개발…진단 정확도 99.4%

GC지놈, AI 기반 비침습산전검사 분석알고리즘 개발…진단 정확도 99.4%

"염색체 전반적인 패턴 학습 AI 기술 적용한 새로운 알고리즘 구축" 임상유전체분석 기업 GC지놈은 자사 비침습산전검사 ‘G-NIPT’에 인공지능(AI) 기술과 DNA 단편거리(FD)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aiD-NIPT’(AI using fragment distance-NIPT)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NIPT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법(NGS)을 이용해 산모 혈액 내에 존재하는 태아 DNA를 검출해 염색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로, 기존 선별 검사보다 더 민감하고 특이도가 높아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다만 염색체마다 하나의 값을 계산해 분석해야 한다는 한계점과 산모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태아의 DNA조각 비율이 낮은 경우나 해독된 염기서열 데이터가 적은 경우에는 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GC지놈은 염색체 전반적인 패턴을 학습한 AI 기반의 새로운 알고리즘을 구축해 더 높은 정확도로 태아 염색체 이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 방안을 고안했다. GC지놈 연구팀은 20~45세 1만9893명의 단태아 산모검체를 이용해 AI 알고리즘 구축 및 평가 그룹(2215명)과 알고리즘 검증 그룹(1만7678명)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단태아 산모검체 2215개를 활용해 기존 NIPT 분석법인 세포 유리 DNA의 수적 이상 여부(FC)가 아닌 단편거리 이상 여부(FD)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AI 알고리즘을 수립했으며, 1만7678명의 검체를 통해 해당 알고리즘을 검증한 결과, 21·18·13번 삼염색체 이상을 검출하는 데 99.4%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앙상블 알고리즘의 경우 민감도 99.7%, 양성예측도 88.4%로 가장 성능이 좋았다. 이는 기존에 상용 중인 알고리즘인 수적 기반의 Z-score와 NCV-score의 민감도가 95.15%, 양성예측도가 각각 40.77%, 36.8%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정확도를 의미한다. 해당 수치는 알고리즘 판독결과만의 값으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의 판독을 거쳐 더욱 높은 정확도로 수검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기창석 GC지놈 대표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제네틱스’에 논문으로 게재돼 학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NIPT 대비 민감도와 특이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 원문 바로가기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뉴시스(https://newsis.com/)

GC FAMILY SITE